지난 1월, 170여 명을 태우고 하늘을 날던 여객기에서 문과 동체가 뜯겨 나가며, 논란의 중심에 선 보잉사. <br /> <br />이달 초에도 이륙하던 비행기의 엔진 덮개가 날아가 긴급 회항하는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보잉 내부 고발자의 증언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담당했던 엔지니어는 787뿐만 아니라 777 역시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비행기의 안전과 수명을 위협할 수 있는 제조상 편법을 도입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샘 살푸르 / 보잉 내부고발자 : 보잉은 생산 지연 문제를 서둘러 해결하기 위해 부품을 과도한 힘으로 밀어 맞췄습니다. 그 결과 부품들 사이 틈새가 있는데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했습니다.] <br /> <br />틈이 있어도 제대로 메우지 않은, 한 마디로 결함이 있는 비행기를 여전히 출고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우려를 제기했더니, 돌아온 건 불이익과 보복뿐이었다고 살푸르 씨는 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샘 살푸르 / 보잉 내부고발자 : 사람들이 비행기 부품을 맞추기 위해서 말 그대로 펄쩍펄쩍 뛰는 걸 봤습니다. 저는 그걸 '타잔 효과'라고 부릅니다. 회사 안에서 다시 한 번 우려를 제기했다가 배제됐습니다. 입을 다물라고 하고, 신체적인 위협도 가했습니다.] <br /> <br />같은 날 열린 미국 상원의 다른 소위원회 청문회에서도 보잉 경영진의 안전불감증을 지적하는 발언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하비에르 데 루이스 /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항공학 강사 : 보잉 직원들은 '안전이 최우선'이라는 말을 듣지만 이건 생산 목표가 달성될 때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압니다. 결국 '최대한 빨리 밀어붙이는 것'이 직원들의 목표가 되는 거죠.] <br /> <br />그러나 보잉은 청문회 전에 성명을 내고 "현재 운항하는 항공기를 엄격히 점검한 결과, 기체가 약해진다는 증거는 전혀 없었다"며, "안전성과 내구성을 확신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주예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임현철 <br />자막뉴스ㅣ서미량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41910462382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